카테고리 없음

논문읽기3- 애들러 연기법 이해하기

퓨리오사24 2024. 7. 22. 13:02

애들러의 배우훈련 방법은 크게 두 단계를 거치며 진행된다. 첫째는 배우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과정, 둘째는 인물을 창조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정이다. 배우는 먼저 앞의 단계에서 자신의 상상력을 확장하고 주어진 상황을 스스로 창조하며 상황에 적합한 신체 형성과 행동을 체현할 수 있는 능력을 연마한다. 다음으로는 작품이 요구하는 인물의 행동을 구축하는 단계인데 작품을 분석하며 배우의 상상력과 주어진 상황, 그리고 신체 행동을 적용시키는 작업이다.

미국의 메소드 연기 교사들은 배우에게 필요한 상상력을 구축하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다. 한진수는 그의 논문에서 스트라스버그의 방법론은 정신적이고, 애들러의 방법론은 지적이며 마이즈너의 방법론은 매우 육체적이기 때문에 훈련효과가 크고 빠르게 드러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스트라스버그는 배우 자신의 과거 경험에서 비롯되는 감각을 이용한 정서의 기억 속에서, 마이즈너는 상대역과 관계를 형성하는 배우의 행동 반복을 통해 상상력에 필요한 정신적, 신체적 충동을 얻으려 한다. 애들러는 배우의 상상력이 사고의 과정을 통해 이미지를 불러일으키고 배우를 움직이게 하는 충동을 만들어낸다고 보았다. 애들러가 설명하는 감각을 활용한 상상력의 훈련과정과 이를 통해 상황을 구축하는 훈련들은 박탄코프가 연기훈련방법을 저술한 에뜌드들의 내용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단계의 인물의 행동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주어진 상황을 구축하는 방법은 첫 번째 단계에서 길러진 상상력을 동원하여 텍스트를 분석하고 인물의 행동들을 정당화하면서 만들어나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배우의 이성적 능력을 요구받게 되며 연기를 몸으로 체득한다기 보다 사고로 해결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따르게 된다. 애들러는 작품분석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대본 내용의 플롯 파악 플롯을 시퀀스의 흐름 단위로 구별 작품의 플롯을 자신의 글로 옮겨보기 소리내어 자신의 대사 낭독 각 장면의 분위기, 인물, 상대역 , 장소, 시대 및 사회상 파악 인물의 사회 조건에 대해 경제적, 정치적, 사회 계급적, 가정, 종교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분석, 탐구 배우 자신과 인물 차이에 대한 구분, (특히 자신이 속한 사회 유형이나 환경과 관련하여) 작품의 주제와 연관된 인물의 주된 목적 도출 각 장면들이 요구하는 인물이 부수적 목적들을 신체적, 음성적, 내적 행동을 통해 발견하기

 

위와 같은 질문들을 통해 대부분의 배우들이 그 답을 찾고 본인이 지금 처해 있는 물리적 환경부터, 심리적 배경까지 많은 것들을 찾아내지만 늘 이러한 이론적인 작업을 충분히 잘 해냄에도 그것이 구현될 때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 또한 많이 있다. 머리 속에 상상된 상황을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과정의 훈련이 필요한 학생들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시 주어진 상황을 인지하는 훈련방법에 대한 목마름이 생기는 부분이다.

동시대 연기교육자였던 로버트 루이스(Robert Lewis)에 의하면 많은 메소드 연기자들은 즉흥을 작가 언어가 아닌 자신의 말로 연기함으로써 오해해 버리는 사례가 자주 있었다고 한다. 그 결과 배우들은 자유의 감각을 성취하기 보다 오히려 장면의 내적 형식, 즉 이야기 구조를 무너뜨리고 인물을 희생시켜가며 자기 자신을 연기하게 되는 꼴이 되었다. 따라서 루이스는 무엇보다 즉흥이 장면의 내용과 극적 의도를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루이스가 말하는 장면의 내적 구조는 주어진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애들러는 배우가 자신으로서 보다는 인물로서 대본에 충실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고 볼 수는 있으나 그것을 체화하는 과정에 대한 훈련법이 이성적 사고에 편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이즈너 또한 이러한 메소드 연기 방법의 문제들을 인지하고 무대 위에 살아있는 인물을 만들기 위해 인물과의 교감을 주된 방향에 두고 가상의 상황을 인지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해나갔다. 그는 나름대로 가상의 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들을 단계별로 구분하며 자신의 연기방법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제 앞서 메소드 연기의 동료인 리스트라스버그와 애들러의 접근방법과 마이즈너의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보다 본격적으로 마이즈너의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