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연기논문읽기4-샌포드 마이즈너의 연기 훈련법

퓨리오사24 2024. 7. 22. 13:11

3. 샌포드 마이즈너의 훈련법의 중요개념

 

1) 행위의 실제성(reality of doing)

 

마이즈너는 연극공연에서 아무 것도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더군다나 지금 이 순간에 실제로 일어나는 것이 없다고 느끼면서 연기 훈련의 중심개념을 행위의 실제성에 두었다.

공연 하는 매번 어떻게 처음 순간(the first time)’이라는 것을 창조할 수 있는가? 배우들은 긴 연습과정을 통해 이미 모든 것을 알고 숙달했으며 무엇보다 다음에 일어날 일들을 알게 되어 버렸다. 그런데 연기의 본질은 이들을 모르는 상태이기를 원한다.

마이즈너는 처음 순간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은 그것이 처음 순간이게 만드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 반드시 현재를 충분히 살아야 한다고 보았다. 연기는 말하는 것이 아니라 행하는 것이며 무엇보다 실제로 행하는 것이라는 전제를 두고 연기방법을 개척해나갔다. ‘행위의 실제성이야말로 마이즈너 연기방법론의 중추라 볼 수 있다. 이 행위의 실제성은 가상이나 가장을 진짜의 감각으로 바꾸어 놓아 지금 이 순간 실제를 대하는 감각들을 열어 놓게 된다. 이것은 무대 위에서 그런 척하는 연기의 습관을 타파하고자 하는 개념이다.

마이즈너는 행위의 실제성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제안한다.

 

<아래의 숫자를 보고 실제로 종이에다 말고 마음의 눈(눈을 감지 말고)으로 두 숫자를 곱하라. 7948*6988>

 

그리고 이 학생들이 그 순간에 행한 행위에 대해 다음의 질문으로 행위의 실제성을 파악하게 한다.

 

당신은 그것을 행했나? 그것을 하려고 애를 썼는가 아니면 빨리 포기했는가? 답을 얻었는가? 아주 어렵고 여전히 최상의 겨냥을 했는가? 들어보라, 그 답은 중요하지 않다. 그것은 결과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언제나 시도에 대한 것이다. 그것이 모두 시도 안에 있었는가. 당신이 시도했던 동안 누가 곱하기를 하고 있었는가? 당신이 했는가? <흉내지빠귀 죽이기>에서 그레고리 펙으로서 당신이었나요? <레이첼 레이첼>에서 조안 우드워드로서의 당신이었나요? 또는 당신이 곱했나요? 당신이 답을 얻지 못했을지라도 당신은 진짜 그것을 행했나요?”

 

행위를 함에 있어서 그 결과보다는 실제로 그 일을 했는가에 초점을 두는 질문이다. 여기에는 인물로써 그런 척 하는 행위는 있을 수 없다. 혹은 내가 곱하기를 하고 있음을 보여주려는 행위는 없다. 마이즈너는 만약 당신이 진실로 무엇을 하고 있다면 당신은 당신 자신이 스스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볼 시간적 여유가 없다. 당신은 오직 그 시간만 있고 그것을 할 수 있는 에너지만 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정말 그 답을 구하기 위해 숫자를 곱하려 한 것이면 충분하다. 진실로, 실제로 그 일을 하고 있다면 그것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도 그것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판단도 없다. 오직 그 행위만이 실제할 뿐인 것이다.

행위의 실제성은 연기에 있어 무언가를 하려하는 것을 없애고 반응하는 것에 집중하게 한다. 그래서 인물의 구축에 있어서도 다른 인물인 것처럼 보이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순간에 집중하면서 인물이 드러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당신이 그런 척하는 것보다 진실로 무엇인가를 하고 있다면 당신은 그것을 등장인물처럼 할 필요가 없다. ...(중략)... 만약 당신이 진실로 자동차 소리 듣기에 집중하고 있다거나 혹은 사람을 보고 있다면, 당신은 등장인물의 성격이 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걱정할 필요가 없다. 당신은 한 가지를 하고 있고 집중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등장인물의 성격이다. 그래서 당신은 등장인물의 성격이 되어 있는 것을 연기할 필요가 없다. 그것은 바로 지금 당신의 행동 안에 있는 것이다.

 

마이즈너는 행위의 실제성의 개념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집중의 대상이 자신이 아닌 자기가 수행하고 있는 일에 있음을 깨닫게 한다. 그리고 진실로 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체득하게 만든다. ‘연기는 감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행하는 것이다라는 전제하에 스트라스버그 연기방법이 배우들에게 준 부담들을 덜어주면서 진실의 연기에 도달하게 해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