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우의 발성훈련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외국의 저명한 훈련가들을 알아보자

by 퓨리오사24 2025. 3. 17.

배우에게 있어서 발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무대와 카메라 앞에서 대사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발성법을 익혀야 합니다. 발성법은 단순히 큰 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호흡, 공명, 조음 등을 체계적으로 훈련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여러 연기 이론가들이 효과적인 발성 훈련 방법을 연구해 왔으며, 배우들에게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배우가 익혀야 할 기본적인 발성법과 함께, 해외에서 유명한 발성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배우가 익혀야 할 기본 발성법

배우는 무대나 카메라 앞에서 자연스럽고 힘 있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발성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호흡 조절 (Breath Control)

올바른 호흡은 발성의 핵심이다. 배우들은 주로 '복식 호흡'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훈련한다.

  • 복식 호흡 훈련법
    • 등을 바닥에 대고 누워 배에 손을 올린 후, 숨을 들이마실 때 배가 올라가고 내쉴 때 배가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 의식적으로 천천히 깊이 들이마시고, 길게 내쉬며 호흡을 조절하는 연습을 한다.
    • 발성을 하면서도 호흡이 끊기지 않도록 조절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2) 공명 연습 (Resonance Training)

공명은 목소리가 풍부하고 울림 있게 들리도록 하는 요소이다. 공명을 잘 활용하면 목소리가 힘 있고 감정 전달력이 뛰어나진다.

  • 공명 훈련법
    • 입을 가볍게 닫고 ‘음~’ 소리를 내면서 입술과 얼굴에 진동이 오는지 느낀다.
    • 다양한 모음 (아, 에, 이, 오, 우) 을 길게 발성하면서 소리가 얼굴 앞쪽으로 울리는 느낌을 찾는다.
    • ‘하’, ‘호’, ‘히’ 같은 소리를 내면서 가슴, 머리, 코 등 다양한 부위에서 공명을 조절하는 연습을 한다.

(3) 조음 훈련 (Articulation Training)

배우는 관객과 시청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발음으로 대사를 전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음 기관(입술, 혀, 턱 등)을 강화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 조음 훈련법
    • 혀를 입천장에 대고 빠르게 ‘라라라라’ 발음하기
    • 어려운 문장을 반복해서 읽으며 또렷한 발음 연습하기
    • 연음과 발음 습관을 체크하며 천천히 또박또박 말하기

2. 외국의 유명한 발성 방법론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기 이론가들은 효과적인 발성법을 연구하고 체계화했다. 그중에서도 배우들이 참고할 만한 대표적인 방법론을 살펴보자.

(1) 시드니 게인즈버러 (Cicely Berry) - ‘음성과 말(Voice and the Actor)’

영국 왕립 셰익스피어 극단(RSC)의 음성 코치였던 시슬리 베리는 배우들의 발성을 효과적으로 지도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녀는 단순한 목소리 훈련이 아니라, 감정과 언어가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연습을 강조했다.

  • 주요 훈련법
    • 텍스트의 리듬과 의미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연습
    • 다양한 감정을 담아 대사를 말하며 목소리를 다채롭게 활용하는 훈련
    • 몸 전체를 활용해 발성하며 긴장을 풀고 자연스러운 톤을 찾는 연습

(2) 크리스틴 링크레이터 (Kristin Linklater) - ‘자유로운 목소리(Freeing the Natural Voice)’

크리스틴 링크레이터는 배우가 자신의 본연의 목소리를 찾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훈련법을 개발했다.

  • 주요 훈련법
    • 불필요한 긴장을 풀고 자연스러운 발성을 찾는 과정
    • 심호흡을 통해 목소리를 몸 전체로 확장하는 연습
    • 감정이 자연스럽게 목소리에 담기도록 유도하는 훈련

링크레이터의 방법론은 특히 연극 배우들에게 많이 활용되며, 배우들이 감정과 소리를 일치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3) 파츠 토이츠 (Patsy Rodenburg) - ‘목소리의 세 가지 영역(The Three Circles of Energy)’

파츠 로덴버그는 연기자들이 목소리를 통해 관객과의 연결을 강화하도록 돕는 이론을 개발했다.

  • 주요 개념
    • 첫 번째 원(First Circle): 내성적이고 에너지가 부족한 소리 (불안하거나 자신감이 없는 상태)
    • 두 번째 원(Second Circle): 자연스럽고 듣는 사람과 연결된 소리 (이상적인 배우의 목소리)
    • 세 번째 원(Third Circle): 지나치게 외향적이고 과장된 소리 (강압적이거나 부자연스러운 상태)

이 이론을 통해 배우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조절하고, 관객과 더 강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다.

(4) 스타니슬랍스키 (Konstantin Stanislavski) - 심리적 현실주의와 발성

러시아의 연기 이론가 스타니슬랍스키는 심리적 현실주의를 강조하면서 배우가 감정과 목소리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훈련을 중요하게 여겼다.

  • 주요 발성 원칙
    • 감정을 진짜로 느끼면서 말해야 자연스러운 발성이 가능하다.
    • 단순한 소리 연습이 아니라, 상황과 감정에 따라 목소리가 달라져야 한다.
    • 긴장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발성을 해야 한다.

스타니슬랍스키의 방법은 배우들이 단순한 발음 훈련을 넘어, 감정과 연기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결론

배우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목소리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호흡, 공명, 조음 등을 종합적으로 훈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복식 호흡, 공명 연습, 조음 훈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시슬리 베리, 크리스틴 링크레이터, 파츠 로덴버그, 스타니슬랍스키 등의 방법론을 참고하여, 자신의 연기 스타일에 맞는 발성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발성은 단순히 기술이 아니라, 감정과 연기의 본질을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이기에 꾸준한 연습과 연구를 통해 자연스럽고 힘 있는 목소리를 만들어 나간다면, 배우로서 더욱 깊이 있는 연기를 펼칠 수 있을 것입니다.